A piano accompaniment

 · 10 mins read

A piano accompaniment

  • 음이름 : 각각의 소리에 이름을 붙인 것 (ABCDEFG)
  • 스케일(Scale) : 음의 구조(순서)를 나타내는 단어
    • 메이저 스케일(Major Scale)
      • 3-4(미-파), 7-8(시-도)이 반음이고, 나머지는 온음으로 구성된 스케일
      • 흔이 알고 있는 ‘도레미파솔라시도’
      • 시작하는 음이 그 스케일의 이름 (e.g. C 음부터 시작하면 C Major Scale)
  • 화음 : 2개 이상의 음이 울렸을 때의 느낌
    • 밝은 화음(Major Chord) e.g. C 코드
    • 어두운 화음(Minor Chord) e.g. Cm 코드
      • 화음은 기본적으로 3도씩 쌓어서 만듦
      • 악보에서 3도는 줄과 줄 사이, 칸과 칸 사이

png

메이저 코드(Major Chord)

  • Major Chord, 밝은 느낌의 화음
  • 메이저 코드는 1, 3, 5 음이 ‘2음’과 ‘1음 반’ 사이 간격
    • e.g. C 코드의 경우 엄지와 중지 사이에 2음(장3도), 중지와 새끼손가락 사이에 온음 1개, 반음 1개(한음 반, 단3도)가 들어있음

마이너 코드(Minor Chord)

  • 메이저 코드와 비교할 때 어두운 느낌의 코드
    • 메이저 코드와 반대로 1, 3, 5 음이 ‘1음 반’과 ‘2음’ 사이 간격
  • 3음이 반음 내려간 형태 (가운데 손가락을 반음 내림)
    • e.g. (C, 도미솔 -> Cm, 도미b솔)

자리바꿈 코드(Inversion Chord)

  • 3개의 음으로 되어 있는 코드의 순서를 바꿔서 연주하는 방법
    • e.g. C, ‘도미솔’ -> C/E, ‘미솔도’
    • e.g. C/E, ‘미솔도’ -> C/G, ‘솔도미’
  • 자리바꿈을 이용하면 다양하고 부드러운 소리를 연주
  • 슬래시(‘/’) 오르쪽에 있는 음이 가장 아래 있는(1도) 음

왼손 연주(Left Hand)

  • 피아노 반주를 하게 되면 보통 오른손으로는 화음을, 왼손으로는 리듬을 연주
    • 왼손 사용을 줄이는게 좋음(1~2개 음만 사용)
  • 오른손으로 4분음표를 단순하게 4번 치는 주법을 4비트 주법
    • 가장 쉬운 왼손 주법은 코드의 루프만을 연주 (코드의 근음으로 C 코드면 C, F 코드면 F 음이 루트)
    • 왼손에 리듬감을 더한 경우

세븐 코드(7th Chord)

  • A7, G7 과 같은 형태, = 도미넌트 세븐 코드(Dominant 7th chord)
  • 스케일의 7번째 음(단7도)이 추가, 4화음(4th chord)
    • 7음을 빨리 찾는 것이 중요
  • 단7도 위에 있는 음(Bb)은 루트 C에서 한음(반음 2개) 아래 있는 음
    • 세븐 코드(7) = 메어저 코드 + 루트에서 한음 아래 있는 음(단7음)
    • 메이저 세븐 코드(M7) = 메이저 코드 + 루트에서 반음 아래 있는 음(장7도 음)
    • 마이너 세븐 코드(m7) = 마이너 코드 + 루트에서 한음 아래 있는 음(단7음)

코드 바꾸기(Chord Exchange)

  • 양손을 이용하여 어려운 코드를 쉽게 연주

    • F#m7 이나 CM7 코드를 한 손으로 누르면 어렵울뿐만 아니라 소리도 좋지 않음
    • CM7 ‘도,미,솔,시’ 는 왼손(도), 오른손(미,솔,시)로 연주할 수 있음
      • CM7 코드 = 왼손은 루트 C 음 + 오른손은 Em 코드
      • 왼손은 C음을 누르면서 오른손은 Em 코드의 자리바꿈
  • 메이저 세븐 코드(M7)는 왼손으로 루트를 누르고 오른손으로 그 코드의 3음으로부터 마이너 코드를 만들면 쉽게 메이저 세븐 코드를 만들 수 있음

    코드왼손(루트)오른손 구성음오른손 코드
    CM7미 솔 시Em
    GM7시 레 파#Bm
    DM7파# 라 도#F#m
    AM7도# 미 솔#C#m
    EM7솔# 시 레#G#m
    FM7라 도 미Am
    BbM7b레 파 라Dm
    EbM7b솔 시bGm
    AbM7b도 미bCm
  • 마이너 세븐 코드는 왼손으로 루트를 누르고 오른손으로 그 코드의 3음(한음 반 위에 있는 음)으로부터 메이저 코드를 만들면 쉽게 마이너 세븐 코드를 만들 수 있음

    코드왼손(루트)오른손 구성음오른손 코드
    C#m7도#미 솔# 시E
    G#m7솔#시 레# 파#B
    Dm7파 라 도F
    Am7도 미 솔C
    Em7솔 시 레G
    F#m7파#라 도# 미A
    Bm7레 파# 라D
    D#m7레#파# 라# 도#F#

텐션 나인(9th Tension)

  • Tension : 코드톤 외에 추가로 넣을 수 있는 음들

    • 보다 부드럽고, 세련된 표현
    • 텐션 나인 = 세븐코드 + 9번째 음 (5화음)
  • 텐션 나인은 스케일의 9(2)번째 음으로, 루트에서 한음(장2도) 위에 있는 음

    • 3화음이나 7화음, 마이너, 메이저 코드 모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음

    • 루트에서 한음 위에 있는 음이기 떄문에 찾기도, 연주하기도 쉬움

    • e.g. C2 or Cadd2 = 도, 레, 미, 솔

    • e.g. C7 + 2 = C9

       원래 코드텐션 나인 음코드 표기
      Cm2도 미b도 레 미b
      Cm9도 미b 솔 시b도 레 미b 솔 시b
      C9도 미 솔 시b도 레 미 솔 시b
      CM9도 미 솔 시도 레 미 솔 시
    • 악보에 C 코드라고 표시되어 있더라도 텐션을 넣은 C2 코드 형태로 연주할 수 있음

       투(2) 코드마이너 나인(m2) 코드나인(7+2) 코드
      CC2 : 도 레 미 솔Cm2 : 도 레 미bCM9 : 도 레 미 솔 시b
      GG2: 솔 라 시 레Gm2 : 솔 라 시bGM9 : 솔 라 시b 레 파#
      DD2 : 레 미 파# 라Dm2 : 레 미 파 라DM9 : 레 미 파# 라 도#
      AA2 : 라 시 도# 미Am2 : 라 시 도 미AM9 : 라 시 도# 미 솔#
      EE2 : 미 파 솔# 시Em2 : 미 파 솔 시EM9 : 미 파 솔# 시 레#

서스포 코드(Sus4 Chord)

  • 신비감을 줄 수 있는 세련된 코드

    • 애드립과 보이싱 등에 활용
  • 코드의 3음이 4음으로 변한 코드
    • 대부분 세븐 코드에서 사용
    • e.g. C : ‘도미솔’ -> Csus4 : ‘도파솔’
    • e.g. C7 : ‘도미솔시b’ -> C7sus4 : ‘도파솔시b’ -> C9sus4 : ‘도레파솔시b
  • 나인 텐션이 포함된 서스포 나인 코드는 양손으로
    • C9sus4 : ‘도레파솔시b’ = Bb/C (왼손 : ‘도솔’, 오른손 : ‘시b레파’)

    • A9sus4 = G/A

    • 실제 악보에 9sus4 코드는 찾기 어렵고, 보통 악보에 sus4 코드들을 9sus4 으로 바꿔서 연주

    • 왼손으로 코드의 ‘‘루트와 5음’’, 오른손으로는 코드의 ‘한음 아래의 코드’

      코드왼손(루트와 5음)오른손(한음 아래 코드)코드 표시
      C9sus4도, 솔Bb 코드Bb/C
      G9sus4솔, 레F 코드F/G
      D9sus4레, 라C 코드C/D
      A9sus4라, 미G 코드G/A
      E9sus4마, 시C 코드D/E
      F9sus4파, 도Eb 코드Eb/F
      Bb9sus4b, 파Ab 코드Ab/Bb
      Eb9sus4b, 시bDb 코드Db/Eb
      Ab9sus4b, 미bGb 코드Gb/Ab
      Db9sus4b, 라bB 코드B/Db

왼손 아르페지오(Left Hand Arpeggio)

  • 왼손은 화려하지 않고 단순할 수록 좋음
    • 패턴 1 : 코드의 루트만 누르기
      • e.g. C(도)
    • 패턴 2 : 코드의 1음과 5음 누르기
      • e.g. C(도, 솔)
    • 패턴 3 : 코드의 1음과 1(7)음 누르기
      • e.g. C(도, 도)
    • 패턴 4 : 코드의 1, 5, 1(7) 음 누르기
      • e.g. C(도, 솔, 도)
    • 패턴 5 : 1, 5, 1, 2, 3 패턴 배우기
      • e.g. C(도, 솔, 도, 레, 미)
  • Low Interval Limit
    • 왼손으로 낮은 음을 칠 때, 어느 정도 이상 손을 벌려야 음이 지저분하지 않는지 간격을 정해놓는 것
    • 아르페지오를 할 때에도 최소한 5도 이상을 벌려야 함

8비트(8 Beat)

  • 대표적으로 Rock과 같은 빠른 곡 연주에 사용(오른속)

    • 한 마디에 8분음표를 8번 연주하는 주법
  • [3]번째 비트마다 혹은 [1,4,7]번째 비트마다 강세를 붙일 수 있음

    • 오른손으로 강세를 넣던 것을 왼손으로 표현 가능

      오른손은 일정하게 스타카토 형식으로 끊어 치고, 왼손으로 [1,4,7]번째 음에 강세를 넣음)

Tip)

멜로디보다 낮은 음역에서 오르손을 연주

피아노 반주에서는 창의력이 필요, 스스로 기본패턴을 연구하고 응용할 필요가 있음

어그멘티드 코드(Augmented Chord)

  • 코드 구성음 중 5음이 반음 올라간 코드
    • C+, Caug, C#5 등으로 표시
    • 많이 사용되지는 않지만 특색있고 오묘한 느낌으로 특이한 느낌을 줄 때 자주 사용
    • 자리바꿈 형태에서
      • C+ = E+ = G#+
      • F+ = A+ = C#+
  • 클리셰(관용구)

    • 코드의 반음진행 - 코드 연결을 부드럽게

    • C C+ C6 C7 F G7 과 같이 같은 코드가 계속될 경우 화음을 조금씩 변화

      G G# A Bb 음으로 C 코드의 5음이 점차 상행

  • b13 텐션

    • 5번째 음을 반음 올린 것을 추가

    • 재즈에서 많이 사용되는 음

    • b6 음이 추가된 것으로 b13 텐션은 도미넌트 세븐 코드(G7 등)에서 사용

      • C7b13 : 도, 미, 라b, 시b

        코드세븐 코드b13 음
        C7b13도 미 솔 시bb
        F7b13라 파 도 미bb
        G7b13솔 시 레 파b
        D7b13레 파# 라 도b
        E7b13미 솔# 시 레
        A7b13라 도# 미 솔
        Bb7b13레 파 라b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