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적성

 · 6 mins read

언어능력

어휘

유형 특징

  1. 어휘의 의미를 고려해 문맥에 맞는 어휘를 판단하고, 어휘 간의 의미 관계를 유추하는 유형의 문제
  2. 어휘 유형은
    • 어휘 관계
    • 빈칸 완성
    • 다의어/유의어
  3. 예시, 예문과 함께 학습하는 것이 중요 - (몰랐던, 헷갈리는 언어들은 따로 정리해보자)
  4. 빨리 풀려기보다 안 틀리려는 생각으로 풀기
  5. 대체로 어휘, 어법들은 재사용되는 경우가 많다보니 ,범위를 넓히기보다 정확한 예문과 표기를 통해 기본적으로 자주 나오는 것들을 익숙하게 만들기

어휘 관계

2~3개 어휘 간의 의미 관계를 유추하거나, 여러 단어 중 일정한 의미 관계를 맺고 있는 어휘를 고르는 유형의 문제

  1. 제시된 어휘 쌍이 유의관계 또는 반대관계가 성립하는지 확인
  2. 제시된 어휘 쌍으로 문장 만들어보기
  3. 최소한 선택지는 다 읽어보기
    • 유의 관계 $ 죽음 : 사망
    • 반의 관계 $ 죽음 : 삶 (중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모순) 흑 : 백 (중간이 존재하므로 반대)
    • 포함관계 $ 식물 : 꽃 ( 상 : 하) 꽃 : 백합 (상 : 하)
      • 같은 꽃 이지만 상의어가 될 수도 하의어가 될 수도 있으므로 방향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
    • 용도 $ 칼 : 절단
    • 행위 $ 피아노 : 연주
    • 재료 $ 콩 : 두부
    • 인과 $ 추위 : 난방
    • 구성요소 $ 차 : 핸들
    • 동일위상(Level) $ 연필 : 샤프 (필기구)
    • 문장성분(주어, 목적어, 서술어) $ 밥 : 먹다 = 물 : ( 팔다, 따르다, 마시다 등)

다의어/유의어

한 어휘가 가진 여러 가지 의미를 구분하거나 의미가 서로 비슷한 2개 이상의 어휘를 고르는 유형의 문제

  1. 제시된 문장을 읽고 어휘의 의미를 파악
  2. 제시된 어휘의 의미를 선택지에 차례대로 대입
    • Plan A : 다른 어휘로 교체 후 대입
    • Plan B : 관련어와의 유사성(사람 or 사물)

빈칸 완성

어휘의 의미와 글의 문맥을 고려하여, 빈칸에 들어가기에 적절한 여휘 또는 부적절한 어휘 고르는 문제

  1. 빈칸이 포함된 문장의 내용을 파악한 후, 빈칸 앞 뒤에 오는 어휘를 확인
  2. 선택지에 주어진 어휘를 빈칸에 넣으며 문맥에 맞는 어휘인지, 빈칸 앞뒤에 오는 어휘와 적절하게 연결되는지 판단
    • 보기를 먼저 보고 각 자리에 넣어볼 단어를 선택
    • 헷갈리지 않게 (ㄱ), (ㄴ).. 별로 단어에 잘 표시해두기


어법

유형 특징

  1. 우리말 어법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정확한 우리말 표현을 찾는 유형의 문제
  2. 어법 유형
    • 맞춤법 적용
    • 고쳐쓰기

맞춤법 적용

우리말 어법에 부합하는 표현 또는 그렇지 않은 표현을 고르는 유형의 문제

  1. 선택지를 읽고 각 선택지에 적용된 어법을 파악
  2. 어떤 어법이 쓰였는지 확실히 파악한 선택지부터 확인하며 오답을 빠르게 소거
    • 띄어쓰기 : 품사가 바뀌면 실시(조사 제외)

      • 조사란? 명사, 대명사, 수사(수량, 순서) 뒤에 오는 것
    • 동사나 형용사는 뒤가 ~고, ~으니, ~지만, ~은, ~기, ~음 등으로 모양이 바뀌어도 품사는 바뀌지 않는다

      • A : 먹을 만큼 먹어 (동사 + 조사X)
      • B : 너 만큼 먹을게 (대명사 + 조사)
        • 조사인지 아닌지를 확인
        • 조사 + 조사도 가능

고쳐쓰기

글에서 어법이 잘못된 부분 또는 글의 전반적인 흐름에 맞지 않는 내용에 대한 수정 방안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유형의 문제

  1. 글에서 밑줄이나 괄호로 표시된 부분이 수정할 필요가 있는지 확인
    • 문장 성분 탈락 : 밤늦게 다니면 “걱정을 끼치게 된다.”
    • 문장 성분 사이의 어색한 호응 : “눈”과 바람이 많이 “불어” 옷을 단단히 챙겨 입었다.
    • 동어 반복 표현 : “과반수가 넘는” 사람이 회의에 불참했다.
    • 중의적 표현 : “착한 진영이의 동생”이 내게 말을 걸었다.
    • 외국어식 표현 : 그 영화는 정식 개봉 전 시사회를 “가졌다.”
    • 문맥에 맞지 않는 어휘 사용 : 저 산 “넘어”에 외딴 마을이 있다.
  2. 선택지에 제시된 내용을 적용해보며 수정 방안이 적절한지 판단
    • 이중피동은 허용하지 않는다.
      • 읽혀지다 -> 읽어지다 or 읽히다, 적용되어진 -> 적용된


수리능력

응용계산

유형 특징

  1. 문제에 제시된 조건을 이용하여 식을 세우고 답을 도출하는 유형의 문제
  2. 응용계산 유형은 총 7가지 세부 유형으로 출제
    • 거리/속력/시간
    • 용액의 농도
    • 일의 양
    • 원가/정가
    • 방정식의 활용
    • 경우의 수/확률
    • 기타
  3. 30문항을 30분에 해결

    • 풀 수 있는 문제 선별과 버릴 문제 선별도 중요(보통 소금물..)
    • 풀 수 있는 문제들은 정답률을 높일 수 있도록

거리/속력/시간

  1. 제시된 조건을 표나 그림으로 간단히 정리
  2. 정리한 조건을 바탕으로 식을 세워 정답을 찾기
    • 선택지를 활용하는 방법도 중요

      거리 = 속력x시간 속력 = 거리/시간 시간 = 거리/속력

용액의 농도

  1. 제시된 조건을 표나 그림으로 간단히 정리

  2. 정리한 조건을 바탕으로 식을 세워 정답을 찾기

    • 과정(넣고, 빼고) = 결과

    • 보통 용질양(소금)의 변화에 대한 식을 세움 - 공식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

소금의 양 = 소금물의 양 x (소금물의 농도/100)

소금물의 양 = 물의 양 + 소금의 야 ㅇ

소금물의 농도(%) = (소금의 양 / 소금물의 양) x 100

일의 양

  1. 제시된 조건을 표나 그림으로 간단히 정리
  2. 정리한 조건을 바탕으로 식을 세워 정답을 찾기
    • 문제에서 요구하는 시간당 작업량을 먼저 구하는 것이 중요
      • A가 5h, B가 7h 만에 일을 끝낼 때, A의 시간당 작업량은 1h = 1/5 B의 시간당 작업량은 1h = 1/7

시간당 작업량 = 작업량 / 시간

작업량 = 시간당 작업량 x 시간

시간 = 작업량 / 시간당 작업량

원가/정가

  1. 문제에서 묻는 대상을 정확히 파악하여 문제 풀이에 필요한 요소를 찾기
    • 원가 : 처음 만든 곳에서 상품을 사올 때 가격
    • 정가 : 원가에 이익금을 더해서 정한 가격(- 판매가)
  2. 제시된 조건을 바탕으로 식을 간단히 세워 정답을 찾기
    • 과정을 이해해하면서(이익률과 이익가, 할인율과 할인가) 가격을 측정

정가 = 원가 x (1 + 이익률/100)

이익 = 정가 - 원가(정가>원가) = 원가 x (이익률/100)

할인율(%) = ((정가-할인가)/정가) x 100

할인가 = 정가 x (1 - (할인율/100))

방정식의 활용

  1. 문제의 마지막 문장을 읽고 묻는 대상을 미지수로 정하기
    • 공식이 없으므로 문제에 대한 이해가 필요
  2. 최대한 간단하게 식을 세워 정답 찾기
    • 정보를 잘 정리하는 것이 중요(ex. 표)

경우의 수

  1. 문제 풀이에 이용할 개념이나 공식을 정하기(조합? 순열?)
    • 공식, 개념에 대한 선이해가 필요
  2. 관련 개념이나 공식을 적용하여 정답을 찾기

기타

  1. 문제의 마지막 문장을 읽고 문제 풀이에 이용할 개념이나 공식을 정하기
  2. 관련 개념이나 공식을 적용하여 정답 찾기
    • 양의 비, 거리의 비를 이용하여 평균을 구하는 방법
      • 양의 비가 2 : 1 이라면, 거리의 비는 1 : 2 역수 관계
      • 양의 비가 1 : 1 이라면 평균은 중간값

1ml = 1cm3 는 같은 부피의 양


추리능력

참인 결론 고르기

벤다이어그램을 그려보면서 푸는 방법이 효율적

  • 있는데 “있을 수 없다” 라고 한다면 오답
  • 있을 가능성이 있는데 “있을 수 없다”라고 한다면 오답
  • 잘 모르는 상황에서 “있다, 없다”라고 단정지으면 세모(?)로 오답
  • 잘 모르는 상황이지만 “있을 수 있다”라고 가능성을 이야기했다면 정답 가능

항상 참인 문장 고르기(명제)

명제를 정리한 후, 보기의 명제대로 시작 혹은 끝날 수 있는지 확인

진실 거짓 문제

  • 진술을 정리한 후 모순을 먼저 찾기
    • 범인 1, 4T1F 1 ; 4 O 2 : 5 X 3 : 1 O or 2 O 4 : 4 X 5 : 2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