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능력
어휘
유형 특징
- 어휘의 의미를 고려해 문맥에 맞는 어휘를 판단하고, 어휘 간의 의미 관계를 유추하는 유형의 문제
- 어휘 유형은
- 어휘 관계
- 빈칸 완성
- 다의어/유의어
- 예시, 예문과 함께 학습하는 것이 중요 - (몰랐던, 헷갈리는 언어들은 따로 정리해보자)
- 빨리 풀려기보다 안 틀리려는 생각으로 풀기
- 대체로 어휘, 어법들은 재사용되는 경우가 많다보니 ,범위를 넓히기보다 정확한 예문과 표기를 통해 기본적으로 자주 나오는 것들을 익숙하게 만들기
어휘 관계
2~3개 어휘 간의 의미 관계를 유추하거나, 여러 단어 중 일정한 의미 관계를 맺고 있는 어휘를 고르는 유형의 문제
- 제시된 어휘 쌍이 유의관계 또는 반대관계가 성립하는지 확인
- 제시된 어휘 쌍으로 문장 만들어보기
- 최소한 선택지는 다 읽어보기
- 유의 관계 $ 죽음 : 사망
- 반의 관계 $ 죽음 : 삶 (중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모순) 흑 : 백 (중간이 존재하므로 반대)
- 포함관계 $ 식물 : 꽃 ( 상 : 하) 꽃 : 백합 (상 : 하)
- 같은 꽃 이지만 상의어가 될 수도 하의어가 될 수도 있으므로 방향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
- 용도 $ 칼 : 절단
- 행위 $ 피아노 : 연주
- 재료 $ 콩 : 두부
- 인과 $ 추위 : 난방
- 구성요소 $ 차 : 핸들
- 동일위상(Level) $ 연필 : 샤프 (필기구)
- 문장성분(주어, 목적어, 서술어) $ 밥 : 먹다 = 물 : ( 팔다, 따르다, 마시다 등)
다의어/유의어
한 어휘가 가진 여러 가지 의미를 구분하거나 의미가 서로 비슷한 2개 이상의 어휘를 고르는 유형의 문제
- 제시된 문장을 읽고 어휘의 의미를 파악
- 제시된 어휘의 의미를 선택지에 차례대로 대입
- Plan A : 다른 어휘로 교체 후 대입
- Plan B : 관련어와의 유사성(사람 or 사물)
빈칸 완성
어휘의 의미와 글의 문맥을 고려하여, 빈칸에 들어가기에 적절한 여휘 또는 부적절한 어휘 고르는 문제
- 빈칸이 포함된 문장의 내용을 파악한 후, 빈칸 앞 뒤에 오는 어휘를 확인
- 선택지에 주어진 어휘를 빈칸에 넣으며 문맥에 맞는 어휘인지, 빈칸 앞뒤에 오는 어휘와 적절하게 연결되는지 판단
- 보기를 먼저 보고 각 자리에 넣어볼 단어를 선택
- 헷갈리지 않게 (ㄱ), (ㄴ).. 별로 단어에 잘 표시해두기
어법
유형 특징
- 우리말 어법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정확한 우리말 표현을 찾는 유형의 문제
- 어법 유형
- 맞춤법 적용
- 고쳐쓰기
맞춤법 적용
우리말 어법에 부합하는 표현 또는 그렇지 않은 표현을 고르는 유형의 문제
- 선택지를 읽고 각 선택지에 적용된 어법을 파악
- 어떤 어법이 쓰였는지 확실히 파악한 선택지부터 확인하며 오답을 빠르게 소거
띄어쓰기 : 품사가 바뀌면 실시(조사 제외)
- 조사란? 명사, 대명사, 수사(수량, 순서) 뒤에 오는 것
동사나 형용사는 뒤가 ~고, ~으니, ~지만, ~은, ~기, ~음 등으로 모양이 바뀌어도 품사는 바뀌지 않는다
- A : 먹을 만큼 먹어 (동사 + 조사X)
- B : 너 만큼 먹을게 (대명사 + 조사)
- 조사인지 아닌지를 확인
- 조사 + 조사도 가능
고쳐쓰기
글에서 어법이 잘못된 부분 또는 글의 전반적인 흐름에 맞지 않는 내용에 대한 수정 방안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유형의 문제
- 글에서 밑줄이나 괄호로 표시된 부분이 수정할 필요가 있는지 확인
- 문장 성분 탈락 : 밤늦게 다니면 “걱정을 끼치게 된다.”
- 문장 성분 사이의 어색한 호응 : “눈”과 바람이 많이 “불어” 옷을 단단히 챙겨 입었다.
- 동어 반복 표현 : “과반수가 넘는” 사람이 회의에 불참했다.
- 중의적 표현 : “착한 진영이의 동생”이 내게 말을 걸었다.
- 외국어식 표현 : 그 영화는 정식 개봉 전 시사회를 “가졌다.”
- 문맥에 맞지 않는 어휘 사용 : 저 산 “넘어”에 외딴 마을이 있다.
- 선택지에 제시된 내용을 적용해보며 수정 방안이 적절한지 판단
- 이중피동은 허용하지 않는다.
- 읽혀지다 -> 읽어지다 or 읽히다, 적용되어진 -> 적용된
- 이중피동은 허용하지 않는다.
수리능력
응용계산
유형 특징
- 문제에 제시된 조건을 이용하여 식을 세우고 답을 도출하는 유형의 문제
- 응용계산 유형은 총 7가지 세부 유형으로 출제
- 거리/속력/시간
- 용액의 농도
- 일의 양
- 원가/정가
- 방정식의 활용
- 경우의 수/확률
- 기타
30문항을 30분에 해결
- 풀 수 있는 문제 선별과 버릴 문제 선별도 중요(보통 소금물..)
- 풀 수 있는 문제들은 정답률을 높일 수 있도록
거리/속력/시간
- 제시된 조건을 표나 그림으로 간단히 정리
- 정리한 조건을 바탕으로 식을 세워 정답을 찾기
- 선택지를 활용하는 방법도 중요
거리 = 속력x시간 속력 = 거리/시간 시간 = 거리/속력
- 선택지를 활용하는 방법도 중요
용액의 농도
제시된 조건을 표나 그림으로 간단히 정리
정리한 조건을 바탕으로 식을 세워 정답을 찾기
과정(넣고, 빼고) = 결과
보통 용질양(소금)의 변화에 대한 식을 세움 - 공식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
소금의 양 = 소금물의 양 x (소금물의 농도/100)
소금물의 양 = 물의 양 + 소금의 야 ㅇ
소금물의 농도(%) = (소금의 양 / 소금물의 양) x 100
일의 양
- 제시된 조건을 표나 그림으로 간단히 정리
- 정리한 조건을 바탕으로 식을 세워 정답을 찾기
- 문제에서 요구하는 시간당 작업량을 먼저 구하는 것이 중요
- A가 5h, B가 7h 만에 일을 끝낼 때, A의 시간당 작업량은 1h = 1/5 B의 시간당 작업량은 1h = 1/7
- 문제에서 요구하는 시간당 작업량을 먼저 구하는 것이 중요
시간당 작업량 = 작업량 / 시간
작업량 = 시간당 작업량 x 시간
시간 = 작업량 / 시간당 작업량
원가/정가
- 문제에서 묻는 대상을 정확히 파악하여 문제 풀이에 필요한 요소를 찾기
- 원가 : 처음 만든 곳에서 상품을 사올 때 가격
- 정가 : 원가에 이익금을 더해서 정한 가격(- 판매가)
- 제시된 조건을 바탕으로 식을 간단히 세워 정답을 찾기
- 과정을 이해해하면서(이익률과 이익가, 할인율과 할인가) 가격을 측정
정가 = 원가 x (1 + 이익률/100)
이익 = 정가 - 원가(정가>원가) = 원가 x (이익률/100)
할인율(%) = ((정가-할인가)/정가) x 100
할인가 = 정가 x (1 - (할인율/100))
방정식의 활용
- 문제의 마지막 문장을 읽고 묻는 대상을 미지수로 정하기
- 공식이 없으므로 문제에 대한 이해가 필요
- 최대한 간단하게 식을 세워 정답 찾기
- 정보를 잘 정리하는 것이 중요(ex. 표)
경우의 수
- 문제 풀이에 이용할 개념이나 공식을 정하기(조합? 순열?)
- 공식, 개념에 대한 선이해가 필요
- 관련 개념이나 공식을 적용하여 정답을 찾기
기타
- 문제의 마지막 문장을 읽고 문제 풀이에 이용할 개념이나 공식을 정하기
- 관련 개념이나 공식을 적용하여 정답 찾기
- 양의 비, 거리의 비를 이용하여 평균을 구하는 방법
- 양의 비가 2 : 1 이라면, 거리의 비는 1 : 2 역수 관계
- 양의 비가 1 : 1 이라면 평균은 중간값
- 양의 비, 거리의 비를 이용하여 평균을 구하는 방법
1ml = 1cm3 는 같은 부피의 양
추리능력
참인 결론 고르기
벤다이어그램을 그려보면서 푸는 방법이 효율적
- 있는데 “있을 수 없다” 라고 한다면 오답
- 있을 가능성이 있는데 “있을 수 없다”라고 한다면 오답
- 잘 모르는 상황에서 “있다, 없다”라고 단정지으면 세모(?)로 오답
- 잘 모르는 상황이지만 “있을 수 있다”라고 가능성을 이야기했다면 정답 가능
항상 참인 문장 고르기(명제)
명제를 정리한 후, 보기의 명제대로 시작 혹은 끝날 수 있는지 확인
진실 거짓 문제
- 진술을 정리한 후 모순을 먼저 찾기
- 범인 1, 4T1F 1 ; 4 O 2 : 5 X 3 : 1 O or 2 O 4 : 4 X 5 : 2 X